채권 etf vs 인컴형 etf 글로벌 경기침체기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글로벌 경기침체가 다가올수록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때 가장 많이 비교되는 것이 바로 채권 ETF와 인컴형 ETF인데요.
두 ETF 모두 보수적 투자에 적합하지만, 수익 구조와 리스크는 확연히 다릅니다.
지금 이 시기, 어떤 선택이 더 유리할까요?
글로벌 경기침체기, 채권 ETF vs 인컴형 ETF의 승자는 누구?
요즘처럼 금리는 높은데, 경기 불확실성은 커지는 시기에는 어떤 자산을 선택해야 할까요?
위험자산은 꺼려지고, 예적금은 수익이 아쉬운 이때, 많은 분들이 ETF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특히 채권 ETF와 인컴형 ETF, 이 두 가지가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 중이죠.
저도 실제로 두 상품을 모두 투자해본 입장에서 어떤 상황에 어떤 ETF가 유리한지, 분명한 차이를 느꼈습니다.
왜 이 시기에 채권 ETF와 인컴형 ETF가 주목받을까?
2025년 현재, 글로벌은 다시 침체 사이클을 맞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고점에서 횡보 중이고, 한국도 금리 인하보다는 유지 쪽에 가깝습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배당주, 리츠, 고정 수익형 자산들이 다시 조명받기 마련입니다.
그중에서도 ETF는 수수료가 낮고 분산 투자에 유리하기 때문에 은퇴 준비자, 40대 이상 투자자에게 인기입니다.
저 역시 ‘채권 ETF + 인컴형 ETF’를 반반 나눠 투자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채권 ETF는 뭐고, 어떤 점이 좋을까?
채권 ETF는 국채, 회사채 등을 묶어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TIGER 미국채 10년’ 같은 ETF는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고,
‘KBSTAR 단기통안채’는 단기 안전채 위주죠.
장점은 명확합니다.
변동성이 낮고
금리 하락기엔 시세 차익도 기대할 수 있고
안정적 수익 흐름이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저처럼 2022~2023년에 진입했던 사람들은
금리 급등기에 수익률이 마이너스였던 기억도 있습니다.
채권은 금리와 반비례하기 때문에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걸 절감했죠.
인컴형 ETF는 어떤 구조일까?
인컴형 ETF는 말 그대로 ‘수익을 만들어내는’ ETF입니다.
보통 고배당주, 리츠, 하이일드채권, 프리퍼드주 등
‘현금흐름을 꾸준히 주는 자산’을 조합해 운용합니다.
예를 들어 ‘KODEX 고배당’ 같은 국내 상품이나
‘SCHD’, ‘JEPI’ 같은 미국 ETF들이 대표적이에요.
저는 2024년 말에 JEPI를 매수해서 현재까지 보유 중인데,
월배당이 들어오는 그 감성은 꽤 든든합니다.
가격은 크게 오르지 않아도, 배당을 받으며 버틸 수 있다는 심리적 안정이 크죠.
둘 중 어떤 ETF가 더 나을까? 실제 투자자의 입장에서 본 결론
저는 이렇게 구분해서 투자하고 있습니다.
단기 안전성과 원금 보호: 채권 ETF
월 현금흐름 + 배당 목적: 인컴형 ETF
그리고 경기 흐름에 따라 비중을 달리합니다.
2025년 상반기처럼 금리 고점에서 횡보하는 구간에는
인컴형 ETF의 고배당 수익률이 훨씬 매력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본격화되고, 금리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채권 ETF가 시세 차익을 노릴 수 있는 시점이 오겠죠.
그래서 최근엔 채권 ETF 비중을 조금씩 늘려가는 중입니다.
나의 전략과 조언
ETF는 ‘쉽고 안전한 투자’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도 전략과 타이밍이 명확하게 작용합니다.
단순히 고배당에 끌려 인컴형 ETF를 샀다가
주가 하락에 놀라는 분도 많고,
채권 ETF의 복잡한 금리 연동 구조를 모르고 사는 경우도 많아요.
제 조언은 하나입니다.
‘내가 원하는 수익의 방식이 무엇인지’ 먼저 정의한 후,
그에 맞는 ETF를 선택하세요.
- 매달 생활비 보조가 필요하다면 → 인컴형 ETF
- 금리 하락기 대비 자산 방어가 필요하다면 → 채권 ETF
그리고 꼭 한 가지에 올인하지 말고, 분산하세요.
저처럼 말이죠.
댓글
댓글 쓰기